종부세 종합부동산세 과세 대상 기준 및 세율

작성자 정보

  • 머니리치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종합부동산세의 과세 대상 기준과 세율에 대해 알아보세요. 주택, 토지별 기준과 세율 체계를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부동산 소유자라면 꼭 알아야 할 정보!


71c0cb2c9dda76218e3794ee8178951f_1725775718_2839.png
 


종합부동산세(이하 종부세)는 고액의 부동산 보유자에게 부과되는 국세로, 부동산 가격 안정과 부동산 보유에 대한 조세 형평성 제고를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종부세의 과세 대상 기준과 세율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종부세의 개요

종부세는 매년 6월 1일(과세기준일) 현재 국내에 소재한 주택과 토지의 공시가격을 합산하여 일정 금액을 초과하는 경우에 부과됩니다. 재산세가 부동산 소재지의 지방자치단체에서 부과하는 지방세라면, 종부세는 국세청에서 부과하는 국세입니다.


과세 대상 및 기준


종부세의 과세 대상은 크게 주택과 토지로 나뉩니다. 각 유형별 과세 대상과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주택

    • 과세 대상: 주택 및 주택의 부속토지
    • 과세 기준: 공시가격 합계액이 9억 원 초과 (1세대 1주택자는 12억 원 초과)
  2. 종합합산토지

    • 과세 대상: 나대지, 잡종지 등
    • 과세 기준: 공시가격 합계액이 5억 원 초과
  3. 별도합산토지

    • 과세 대상: 상가·사무실 부속토지 등
    • 과세 기준: 공시가격 합계액이 80억 원 초과


세율 구조


종부세의 세율은 과세 대상 유형과 공시가격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주택 세율


주택에 대한 종부세 세율은 주택 수와 공시가격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1. 2주택 이하 보유자

    • 과세표준 3억 원 이하: 0.5%
    • 3억 원 초과 6억 원 이하: 0.7%
    • 6억 원 초과 12억 원 이하: 1.0%
    • 12억 원 초과 25억 원 이하: 1.3%
    • 25억 원 초과 50억 원 이하: 1.5%
    • 50억 원 초과 94억 원 이하: 2.0%
    • 94억 원 초과: 2.7%
  2. 3주택 이상 보유자

    • 과세표준 3억 원 이하: 0.5%
    • 3억 원 초과 6억 원 이하: 0.7%
    • 6억 원 초과 12억 원 이하: 1.0%
    • 12억 원 초과 25억 원 이하: 2.0%
    • 25억 원 초과 50억 원 이하: 3.0%
    • 50억 원 초과 94억 원 이하: 4.0%
    • 94억 원 초과: 5.0%


토지 세율

  1. 종합합산토지

    • 과세표준 15억 원 이하: 1%
    • 15억 원 초과 45억 원 이하: 2%
    • 45억 원 초과: 3%
  2. 별도합산토지

  • 과세표준 200억 원 이하: 0.5%
  • 200억 원 초과 400억 원 이하: 0.6%
  • 400억 원 초과: 0.7%

주요 공제 및 감면 제도


  1. 1세대 1주택자 세액공제

    • 연령별 공제: 60세 이상 20%, 65세 이상 30%, 70세 이상 40%
    • 보유기간별 공제: 5년 이상 20%, 10년 이상 40%, 15년 이상 50%
    • 공제 한도: 80%
  2. 합산배제 주택

    • 임대주택, 사원용 주택, 어린이집용 주택 등 일정 요건을 갖춘 주택은 종부세 과세대상에서 제외
  3. 세부담 상한

  • 직전년도 해당 주택에 대한 총세액(재산세+종부세)의 150%를 한도로 부과

납부 방법 및 기한

  • 과세기준일: 매년 6월 1일
  • 납부기한: 매년 12월 1일 ~ 12월 15일
  • 분납 가능: 납부할 세액이 250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분납 신청 가능
  • 신용카드 납부: 1천만 원까지 가능 (수수료 납세자 부담)

결론


종합부동산세는 고액의 부동산 보유자에게 부과되는 세금으로, 부동산 가격 안정화와 조세 형평성 제고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과세 대상과 기준, 세율 구조를 정확히 이해하고 적절한 공제 및 감면 제도를 활용한다면 효율적인 부동산 관리와 세금 납부가 가능할 것입니다. 부동산 정책과 세법은 자주 변경될 수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ags: 종부세, 종합부동산세, 과세기준, 세율, 부동산세금


<참고 링크>



질문과 답변
1주택자라도 공시가격 12억원(과표 9억원)을 초과하는 주택을 소유한 경우 종합부동산세 과세 대상이 됩니다. 다만, 1세대 1주택자의 경우에는 공시가격 11억원(과표 9억원)까지는 종부세가 부과되지 않고, 고령자·장애인 감면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2주택 이상 보유자는 주택 수와 공시가격에 따라 세금이 더욱 증가할 수 있습니다.
종부세는 주택의 공시가격에서 기본공제액을 뺀 과세표준에 세율을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과세표준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며, 주택 수가 많을수록 세율이 높아집니다. 여기에 각종 공제 및 감면 혜택이 적용되어 최종 세액이 결정됩니다. 정확한 계산은 국토교통부 부동산공시가격 알림e시스템이나 세무서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종부세 납부 기한은 매년 12월입니다. 정확한 납부 기한은 고지서에 명시되어 있으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납부 기한을 넘기면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종부세 납부 기한까지 세금을 납부하지 않으면 체납으로 간주되어 가산금이 부과됩니다. 또한, 재산 압류 등의 강제 징수 절차가 진행될 수 있습니다. 납부가 어려운 경우 세무서에 연락하여 납부 연기 또는 분할 납부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1세대 1주택자, 고령자, 장애인 등에게는 종부세 감면 혜택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세대주 연령, 주택 가격, 장애 정도 등 다양한 요소에 따라 감면 폭이 달라집니다. 자세한 내용은 국세청 홈페이지 또는 세무서에 문의하여 확인해야 합니다. 감면 혜택을 받으려면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할 수 있습니다.
종합부동산세(종부세) 과세 대상 주택은 1세대 1주택자를 포함하여, 6억원을 초과하는 주택을 소유한 경우입니다. 단, 1세대 1주택자의 경우에는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공시가격 11억원 이하 주택은 1세대 1주택 비과세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1세대 1주택이라도 고가주택에 해당되면 종부세 과세 대상이 될 수 있고, 주택 외에도 토지 등 다른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면 합산하여 과세 대상 여부를 판단합니다. 세부적인 기준은 매년 변동될 수 있으므로, 국세청 홈페이지 또는 관련 기관을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종부세는 주택 공시가격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먼저, 주택 공시가격에서 기본공제금액을 뺀 과세표준을 구하고, 과세표준에 세율을 적용하여 산출합니다. 세율은 주택 가격에 따라 달라지며, 누진세 방식으로 적용됩니다. 여기에 주택의 규모나 보유 기간 등에 따라 추가적인 공제 혜택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단, 1세대 1주택자의 경우에는 공시가격 11억원 이하 주택은 과세 대상에서 제외되거나 세율이 낮아지는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으므로, 개별 상황에 맞춰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세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종부세 납부는 매년 12월에 납부서가 발송되며, 납부 기한은 납부서에 명시된 날짜를 준수해야 합니다. 납부 방법은 계좌이체, 카드납부, 가상계좌 납부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납부 기한을 넘기면 가산세가 부과되므로, 납부 기한을 꼭 확인하고 미리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납부와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국세청 홈택스 웹사이트 또는 관할 세무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납부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세무서에 연락하여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종합부동산세(종부세)는 1세대 1주택자를 포함하여, 6억원(1세대 1주택자는 9억원) 초과의 공시가격을 가진 주택을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됩니다. 단, 1세대 1주택자의 경우 고령자, 장애인 등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토지의 경우, 지방자치단체가 공시하는 공시지가 합산액이 6억원을 초과하는 경우 종부세 과세 대상이 됩니다. 주택과 토지를 모두 소유한 경우에는 각각의 공시가격을 합산하여 과세 대상 여부를 판단합니다. 세부적인 기준은 매년 변동될 수 있으므로 국세청 홈페이지나 관련 기관을 통해 최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종부세는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하여 계산합니다. 먼저, 주택의 공시가격 또는 토지의 공시지가에서 기본공제액을 뺀 금액을 과세표준으로 합니다. 여기에 세율을 적용하여 산출세액을 구합니다. 세율은 보유 주택 수와 공시가격에 따라 달라지며,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즉, 공시가격이 높을수록 세율이 높아집니다. 또한, 1세대 1주택자의 경우 공제 혜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주택의 종류나 보유기간 등에 따라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확한 종부세 계산은 국세청 종부세 계산 시스템이나 세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종부세 납부는 주로 고지서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국세청에서 발송하는 종부세 고지서에 명시된 납부 기한과 방법에 따라 납부해야 하며, 납부 기한 내에 납부하지 않을 경우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납부 방법은 다양하게 제공되며, 주요 방법으로는 은행 ATM, 인터넷뱅킹, 가상계좌 이체 등이 있습니다. 납부 전에 고지서에 기재된 정보를 정확하게 확인하고, 납부 기한을 엄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납부와 관련된 문의사항은 국세청 상담센터를 통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네이버백과 검색 네이버사전 검색 위키백과 검색

종부세 관련 동영상

Thumbnail
Thumbnail
Thumbnail
Thumbnail
Thumbnail
Thumbnail
Thumbnail
Thumbnail
Thumbnail
Thumbnail

종부세 관련 상품검색

알리에서 상품검색

관련자료